ㅤ
🔬 탐방 : 러닝랩
탐방 러닝랩은 로컬을 주제로 일을 하거나 관심 있는 사람들이 모여 함께 성장하기 위한 프로그램이에요. 큰 기업들은 사내 연구모임을 만들어 함께 자기계발의 기회를 갖지만, 로컬을 주제로 하는 기업을은 아직 규모가 작은 경우들이 많아요. 그래서 탐방이 만들었어요. 매월 로컬 비즈니스에서 필요한 주제를 선정하고 이슈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부터 시작해요. 탐방 러닝랩의 1시간이 쌓이다 보면 어느새 성장한 나를 발견할 거예요.
- 일시 : 7월 24일 (수) 오후 8시
- 장소 : Zoom 회의실
- 세부 내용
: (강의) ‘느낌’ 말고 ‘근거’에 의한 로컬 콘텐츠 만들기- 7월의 주제 ‘인구와 관광’
- 공공 데이터를 활용하는 방법
- 기획서/사업계획서/과제에 기반이 되는 자료 만들기
- 간단히 글이나 표/그래프로 표현하기
- (QnA) 탐방러의 고민을 나눠요.
- 러닝랩 접속 링크는 진행일 기준 48시간 전, 핸드폰 개별 문자메세지로 전달됩니다.
💻 로컬 콘텐츠 기획 : ‘느낌’ 말고 ‘근거’에 의한 콘텐츠 만들기
안녕하세요! 탐방에서 콘텐츠 제작을 담당하고 있는 숭늉🍚 입니다.
저는 탐방과 탐방레터의 콘텐츠 기획/제작/운영에 참여하고, B2G 콘텐츠/관광 컨설팅을 담당하고 있어요. 첫 번째 ‘탐방 러닝랩’으로 어떤 주제를 선택해야 할지 고민이 많았는데요, 그동안 많은 탐방러들이 로컬 콘텐츠의 기획, 그중에서도 데이터를 활용하는 방법을 많이 궁금해 하시더라고요. 그래서 이번 모임에는 제가 해온 10년 간의 공간 분석 및 콘텐츠 제작 경험을 담았습니다. 숭늉은 대학원에서부터 지금까지 농어촌/소도시의 데이터를 다루어왔거든요.
대도시와 달리 농어촌/소도시들은 데이터가 적은 탓에 설득력 있는 기획서/사업계획서/보고서 등을 쓰는 게 어려운 경우가 많죠. 그렇다고 ‘느낌’이나 ‘주장’만으로 남을 설득 시킬 수는 없습니다. ❌온라인에 공개된 자료를 최대한 찾아 적절히 가공한다면, 생각보다 쉽게 여러분의 콘텐츠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을 거예요.
[학습 전] 우리 지역은 지방소멸을 겪고 있어요.
[학습 후] 우리 00군은 2023년 기준 소멸고위험지역으로 분류될 정도로 심각한 지방소멸을 겪고 있어요.
*(추가설명)한국고용정보원이 발표한 지방소멸위험지수에 따르면 지방소멸위험분류는 1~5단계로 구분돼요. 가장 심각한 단계인 소멸고위험지역은 전체 118개 시군구 중 51개에 해당해요.
탐방 러닝랩 멘토 <숭늉>
멘토 | 숭늉
콘텐츠의 기초와 뼈대를 만들며, 숫자와 팩트에 집착하는 경향이 있어요.(네, T예요.(^_・))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에서 박사학위 취득 후 좋아하는 로컬라이프 콘텐츠를 만들고 있습니다. 탐방 / 탐방레터 / 매거진 <about DMZ> / 각종 로컬 & 관광사업에 참여하고 있어요.
🤚 이런 분에게 추천해요.
- 로컬 콘텐츠 기획의 기초를 다지고 싶은 분
- 로컬과 관련된 기획서, 사업계획서를 어떻게 써야하는지 모르겠는 분
- 지역 데이터 취합과 활용에 관심이 있는 분
- 감성적이고 느낌적인 느낌보다는 이제는 설득하는 글을 쓰고 싶은 분
고객센터 안내
이메일 : contact@tambang.kr
평일 : 오전 11시 ~ 오후 5시
휴무 : 주말, 공휴일, 점심(12~13시)
*아래 Q&A에 남겨주세요.
배송안내
배송비 무료
프로그램 환불규정
탐방 모임이 시작되는 시간을 기준으로 아래와 같이 환불해 드립니다.
- 7일 전까지 취소 시 : 전액 환불
- 6일 전부터 2일 전까지 취소 시: 이용료의 70% 환불
- 24시간 전부터는 환불 불가
- 상품 수령 후 환불시 상품에 대한 회수(배송비 구매자 부담)가 이루어진 후 환불이 이루어집니다.
- 최소 인원 미달로 인한 취소 시 마감 시간 24시간 전에 안내를 드리며 참가비는 전액 환불해 드립니다.
© Tambang. all rights reserve
탐방모임은 탐방(tambang.kr)이 기획한 프로그램으로 동일한 프로그램을 상업적 목적으로 활용하실 수 없습니다.
ㅤ
🔬 탐방 : 러닝랩
탐방 러닝랩은 로컬을 주제로 일을 하거나 관심 있는 사람들이 모여 함께 성장하기 위한 프로그램이에요. 큰 기업들은 사내 연구모임을 만들어 함께 자기계발의 기회를 갖지만, 로컬을 주제로 하는 기업을은 아직 규모가 작은 경우들이 많아요. 그래서 탐방이 만들었어요. 매월 로컬 비즈니스에서 필요한 주제를 선정하고 이슈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부터 시작해요. 탐방 러닝랩의 1시간이 쌓이다 보면 어느새 성장한 나를 발견할 거예요.
- 일시 : 7월 24일 (수) 오후 8시
- 장소 : Zoom 회의실
- 세부 내용
: (강의) ‘느낌’ 말고 ‘근거’에 의한 로컬 콘텐츠 만들기- 7월의 주제 ‘인구와 관광’
- 공공 데이터를 활용하는 방법
- 기획서/사업계획서/과제에 기반이 되는 자료 만들기
- 간단히 글이나 표/그래프로 표현하기
- (QnA) 탐방러의 고민을 나눠요.
- 러닝랩 접속 링크는 진행일 기준 48시간 전, 핸드폰 개별 문자메세지로 전달됩니다.
💻 로컬 콘텐츠 기획 : ‘느낌’ 말고 ‘근거’에 의한 콘텐츠 만들기
안녕하세요! 탐방에서 콘텐츠 제작을 담당하고 있는 숭늉🍚 입니다.
저는 탐방과 탐방레터의 콘텐츠 기획/제작/운영에 참여하고, B2G 콘텐츠/관광 컨설팅을 담당하고 있어요. 첫 번째 ‘탐방 러닝랩’으로 어떤 주제를 선택해야 할지 고민이 많았는데요, 그동안 많은 탐방러들이 로컬 콘텐츠의 기획, 그중에서도 데이터를 활용하는 방법을 많이 궁금해 하시더라고요. 그래서 이번 모임에는 제가 해온 10년 간의 공간 분석 및 콘텐츠 제작 경험을 담았습니다. 숭늉은 대학원에서부터 지금까지 농어촌/소도시의 데이터를 다루어왔거든요.
대도시와 달리 농어촌/소도시들은 데이터가 적은 탓에 설득력 있는 기획서/사업계획서/보고서 등을 쓰는 게 어려운 경우가 많죠. 그렇다고 ‘느낌’이나 ‘주장’만으로 남을 설득 시킬 수는 없습니다. ❌온라인에 공개된 자료를 최대한 찾아 적절히 가공한다면, 생각보다 쉽게 여러분의 콘텐츠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을 거예요.
[학습 전] 우리 지역은 지방소멸을 겪고 있어요.
[학습 후] 우리 00군은 2023년 기준 소멸고위험지역으로 분류될 정도로 심각한 지방소멸을 겪고 있어요.
*(추가설명)한국고용정보원이 발표한 지방소멸위험지수에 따르면 지방소멸위험분류는 1~5단계로 구분돼요. 가장 심각한 단계인 소멸고위험지역은 전체 118개 시군구 중 51개에 해당해요.
탐방 러닝랩 멘토 <숭늉>
멘토 | 숭늉
콘텐츠의 기초와 뼈대를 만들며, 숫자와 팩트에 집착하는 경향이 있어요.(네, T예요.(^_・))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에서 박사학위 취득 후 좋아하는 로컬라이프 콘텐츠를 만들고 있습니다. 탐방 / 탐방레터 / 매거진 <about DMZ> / 각종 로컬 & 관광사업에 참여하고 있어요.
🤚 이런 분에게 추천해요.
- 로컬 콘텐츠 기획의 기초를 다지고 싶은 분
- 로컬과 관련된 기획서, 사업계획서를 어떻게 써야하는지 모르겠는 분
- 지역 데이터 취합과 활용에 관심이 있는 분
- 감성적이고 느낌적인 느낌보다는 이제는 설득하는 글을 쓰고 싶은 분
고객센터 안내
이메일 : contact@tambang.kr
평일 : 오전 11시 ~ 오후 5시
휴무 : 주말, 공휴일, 점심(12~13시)
*아래 Q&A에 남겨주세요.
배송안내
배송비 무료
프로그램 환불규정
탐방 모임이 시작되는 시간을 기준으로 아래와 같이 환불해 드립니다.
- 7일 전까지 취소 시 : 전액 환불
- 6일 전부터 2일 전까지 취소 시: 이용료의 70% 환불
- 24시간 전부터는 환불 불가
- 상품 수령 후 환불시 상품에 대한 회수(배송비 구매자 부담)가 이루어진 후 환불이 이루어집니다.
- 최소 인원 미달로 인한 취소 시 마감 시간 24시간 전에 안내를 드리며 참가비는 전액 환불해 드립니다.
© Tambang. all rights reserve
탐방모임은 탐방(tambang.kr)이 기획한 프로그램으로 동일한 프로그램을 상업적 목적으로 활용하실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