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책
오느른 | 최별
올해 초 “4500만 원짜리 폐가를 샀습니다”라는 영상을 시작으로 오느른 유튜브를 구독했습니다. 지난 7월 이후 새로운 영상이 업로드되지 않지만 2년간의 기록은 여전히 유튜브에 남아있습니다. 제 기억에서 오느른이 흐릿해질 무렵, 강화도 독립서점에 갔다가 ‘오느른’ 책을 발견했습니다. 바로 구매했죠. 책을 산 이유요? 특별하진 않아요. 속지가 그대로 노출된 실제본의 느낌이 참 예뻤기 때문이에요.
어떤 이들은 ‘4500만 원’, ‘빈집’이라는 키워드에 폐가를 잘 고르거나 집을 수선하는 귀농 귀촌 노하우를 기대했을 수 있겠지만, 그런 내용들은 정말 단 하나도 없습니다. 대신 갓 30대에 접어든 한 서울 청년이 김제 평야가 보이는 시골집을 충동구매하면서 생기는 잔잔한 이야기를 담았죠. 오늘은 그중에서도 참 공감되었던 몇 얘기를 전해볼까 해요.
일곱 번째 책 : <오느른> Ⓒ탐방
첫 번째 공감, 날씨
첫 번째 공감은 날씨였어요. 서울에서는 날씨 정보를 그리 유심히 보지 않아요. 핸드폰 배경화면 상단에 늘 날씨가 표시되지만 현관을 나설 때 비가 오면 우산을, 추우면 자켓을 꺼내 입을 뿐이죠. 잠깐의 날씨를 견디면 다시 건물 속으로 들어가기 때문일까요?
반면 자연으로 떠날 땐 일주일 전부터 날씨를 보게 되더라고요. 그리곤 시골에 계신 농사부님에게 전화해 날씨가 어떨 것 같은지 한 번 더 물어봅니다. 우산이나 옷차림을 신경 쓰기 위함이지만, 겸사겸사 농부님에게 안부를 물을 때 날씨만 한 것이 없거든요. 탐방에 몸을 담으며 생긴 변화랄까요? 제가 일상에서 느낀 것들이 책에 나오니 참 반가웠어요.
도시보다 계절의 변화가 잘 느껴지는 로컬의 삶 Ⓒ탐방
"매일 날씨가 달라요.
계절도 매일 다르죠. 그러니까 기분도 매일 다를 수밖에요.
일상이 반복되는 도시에서는 이상하게 그 날의 날씨가 기억나지 않아요.
계절도 뚜렷하지 않아요."
— 오느른 67p 중
두 번째 공감, 편안함
책을 읽고 있으면 마음이 편해져요. 사실 TV도 그렇지만 OTT나 유튜브를 두루 섭렵하며 굉장한 피곤을 느끼고 있거든요. 콘텐츠가 너무 많다 보니까 뭘 봐야 할지 고민하는 시간이 많아졌고, 좋은 콘텐츠를 찾기 위해 검색하는데 또 그만큼의 시간을 쓰죠. 하나라도 더 보기 위해 하이라이트만 빨리빨리 보는 습관이 생겨버렸고요. 누가 옆에 있는 것도 아닌데 경쟁하듯 콘텐츠를 소비하고 있습니다. 이제는 제가 2시간짜리 영화를 가만히 볼 수 있을까 걱정스러울 정도예요. 작가가 말하듯 책 속에 어마어마한 장치는 없었지만, 적당한 여백, 정성스럽게 꾹꾹 눌러 쓴 것 같은 글, 감성적인 색채가 큰 영감을 줍니다. 도시의 나는 지금, 편안한 걸까요.
따뜻한 배려가 느껴지는 최별 작가의 글 Ⓒ탐방
"아마도 이 책 안에는 어마어마한 위로나 깨달음이 없을 거거든요.
그냥, 책을 산 사람 열 명 중 한 명이라도 끝까지 보게 된다면,
그럴 수 있다면 소원이 없겠어요.
만약 책을 사긴 했는데, 글은 쓸모가 없다고 느껴지면
예쁜 사진 페이지를 찢어 방에 붙여 놓기라도 하세요.
그게 훨씬 기분이 좋아질지도 몰라요."
— 오느른 85p 중
세 번째 공감, 단순함
어쩌면 도시의 삶은 선택의 연속일지도 모르겠어요. 쉽게 물건을 구하고 쉽게 어디든 갈 수 있다 보니 고민할 것이 생각보다 많죠. 반대로 시골에서는 선택할 수 있는 것이 많지 않아요. 편의점이 있으면 다행이지만 그마저도 차를 타야 하는 거리인 경우가 많아요. 새벽 배송이나 마트 배송도 기대할 수 없으니 미리미리 계획적으로 준비해야 합니다. 그래도 시골 라이프의 꽃은 자급자족 아니겠어요? 뭐, 물론 농사에 취미가 없다면 불가능하겠지만, 조금이라도 땅을 일군다면 오래전 사람들이 그랬듯 굶진 않을 것 같아요. 해가 뜨면 자리에서 일어나 일을 하고, 해가 지면 잠을 청하는 오느른의 단순한 라이프가 정겹기만 합니다.
서울에서 돈을 벌어 시골에서 먹고사는 라이프 Ⓒ탐방
"도시보다 선택의 폭이 좁아요.
그런데 이 환경에 매우 만족합니다.
마음만 먹으면 언제든 무엇이든 할 수 있는 환경 따위는 없습니다.
모든 일상은 할 수 있는 때가 정해져 있고,
그 환경에 나를 맞춰 살아가면 되는 단순한 패턴일 뿐입니다."
— 오느른 190p 중
네 번째 공감, 서울에 대한 단상
편리한 서울 생활에 길들여지면 벗어버리기가 쉽지 않습니다. 더군다나 배움과 경험들이 도시에 맞춰져 있기에 시골에선 스스로 할 수 있는 일이 많이 없죠. 감성적으론 떠나고 싶다가도, 이성적으로 판단하면 결국 서울입니다.
그래서 오느른이 부러웠어요. 그 한계를 한 발짝 뛰어넘은 것만 같아서요. 서울을 놓지 않으면서도 김제 평야 속으로 잘 스며든 모습이 좋았습니다. 요즘 탐방에서 중요 키워드로 삼는 ‘관계인구’의 표본을 본 것만 같달까요. 모두가 알다시피 도시의 청년들에게 소멸되는 지역을 위해 이주하라는 것은 현실성이 없습니다. 연회비를 내고 이용하는 리조트처럼 도시-시골의 관계를 맺어주는 게 그나마 유일한 답일 것 같아요. 잠시라도 로컬의 맛을 보다 보면 여유롭고 조용한 밤, 농사의 즐거움으로 이주를 희망하는 사람들이 나오지 않을까요? 강화의 하니님처럼요.
도시와 달리 해가 지면 ‘낮’은 끝나고 ‘밤’이 시작됩니다. Ⓒ탐방
"서울에서는 채광이 좋은 집을 찾다 보니,
매일 밤이 차 소리가 끊이지 않는 밤이었습니다.
때로는 집 앞이 취객으로 요란스럽고
잠결인 새벽 3시, 빈 도로를 보고 나서야
한밤중이구나 했던 그런 밤들을 보냈습니다."
— 오느른 201p 중
오늘을 사는 어른들, 오느른 Ⓒ탐방
오느른의 뜻은 ‘오늘을 사는 어른들’이라고 합니다. 장르로 보면 어른들은 위한 다큐멘터리와 동화의 사이 그 어디쯤이죠. 끝난 줄만 알았는데 오랜만에 유튜브를 보니 “2022년 12월 24일 오느른이 찾아옵니다”라고 쓰여 있습니다. 요즘도 최별PD는 분주한 것 같아요. 김제에서 도시 청년과 로컬 청년을 모아 오후협동조합(@ohoo.coop)을 만들어 숙박 시설과 카페를 운영한다고 하네요. 아마 책과 영상에 등장한 장소들인 것 같은데, 김제에 가게 된다면 꼭 들르고 싶습니다.
문화│책
오느른 | 최별
올해 초 “4500만 원짜리 폐가를 샀습니다”라는 영상을 시작으로 오느른 유튜브를 구독했습니다. 지난 7월 이후 새로운 영상이 업로드되지 않지만 2년간의 기록은 여전히 유튜브에 남아있습니다. 제 기억에서 오느른이 흐릿해질 무렵, 강화도 독립서점에 갔다가 ‘오느른’ 책을 발견했습니다. 바로 구매했죠. 책을 산 이유요? 특별하진 않아요. 속지가 그대로 노출된 실제본의 느낌이 참 예뻤기 때문이에요.
어떤 이들은 ‘4500만 원’, ‘빈집’이라는 키워드에 폐가를 잘 고르거나 집을 수선하는 귀농 귀촌 노하우를 기대했을 수 있겠지만, 그런 내용들은 정말 단 하나도 없습니다. 대신 갓 30대에 접어든 한 서울 청년이 김제 평야가 보이는 시골집을 충동구매하면서 생기는 잔잔한 이야기를 담았죠. 오늘은 그중에서도 참 공감되었던 몇 얘기를 전해볼까 해요.
일곱 번째 책 : <오느른> Ⓒ탐방
첫 번째 공감, 날씨
첫 번째 공감은 날씨였어요. 서울에서는 날씨 정보를 그리 유심히 보지 않아요. 핸드폰 배경화면 상단에 늘 날씨가 표시되지만 현관을 나설 때 비가 오면 우산을, 추우면 자켓을 꺼내 입을 뿐이죠. 잠깐의 날씨를 견디면 다시 건물 속으로 들어가기 때문일까요?
반면 자연으로 떠날 땐 일주일 전부터 날씨를 보게 되더라고요. 그리곤 시골에 계신 농사부님에게 전화해 날씨가 어떨 것 같은지 한 번 더 물어봅니다. 우산이나 옷차림을 신경 쓰기 위함이지만, 겸사겸사 농부님에게 안부를 물을 때 날씨만 한 것이 없거든요. 탐방에 몸을 담으며 생긴 변화랄까요? 제가 일상에서 느낀 것들이 책에 나오니 참 반가웠어요.
도시보다 계절의 변화가 잘 느껴지는 로컬의 삶 Ⓒ탐방
두 번째 공감, 편안함
책을 읽고 있으면 마음이 편해져요. 사실 TV도 그렇지만 OTT나 유튜브를 두루 섭렵하며 굉장한 피곤을 느끼고 있거든요. 콘텐츠가 너무 많다 보니까 뭘 봐야 할지 고민하는 시간이 많아졌고, 좋은 콘텐츠를 찾기 위해 검색하는데 또 그만큼의 시간을 쓰죠. 하나라도 더 보기 위해 하이라이트만 빨리빨리 보는 습관이 생겨버렸고요. 누가 옆에 있는 것도 아닌데 경쟁하듯 콘텐츠를 소비하고 있습니다. 이제는 제가 2시간짜리 영화를 가만히 볼 수 있을까 걱정스러울 정도예요. 작가가 말하듯 책 속에 어마어마한 장치는 없었지만, 적당한 여백, 정성스럽게 꾹꾹 눌러 쓴 것 같은 글, 감성적인 색채가 큰 영감을 줍니다. 도시의 나는 지금, 편안한 걸까요.
따뜻한 배려가 느껴지는 최별 작가의 글 Ⓒ탐방
세 번째 공감, 단순함
어쩌면 도시의 삶은 선택의 연속일지도 모르겠어요. 쉽게 물건을 구하고 쉽게 어디든 갈 수 있다 보니 고민할 것이 생각보다 많죠. 반대로 시골에서는 선택할 수 있는 것이 많지 않아요. 편의점이 있으면 다행이지만 그마저도 차를 타야 하는 거리인 경우가 많아요. 새벽 배송이나 마트 배송도 기대할 수 없으니 미리미리 계획적으로 준비해야 합니다. 그래도 시골 라이프의 꽃은 자급자족 아니겠어요? 뭐, 물론 농사에 취미가 없다면 불가능하겠지만, 조금이라도 땅을 일군다면 오래전 사람들이 그랬듯 굶진 않을 것 같아요. 해가 뜨면 자리에서 일어나 일을 하고, 해가 지면 잠을 청하는 오느른의 단순한 라이프가 정겹기만 합니다.
서울에서 돈을 벌어 시골에서 먹고사는 라이프 Ⓒ탐방
네 번째 공감, 서울에 대한 단상
편리한 서울 생활에 길들여지면 벗어버리기가 쉽지 않습니다. 더군다나 배움과 경험들이 도시에 맞춰져 있기에 시골에선 스스로 할 수 있는 일이 많이 없죠. 감성적으론 떠나고 싶다가도, 이성적으로 판단하면 결국 서울입니다.
그래서 오느른이 부러웠어요. 그 한계를 한 발짝 뛰어넘은 것만 같아서요. 서울을 놓지 않으면서도 김제 평야 속으로 잘 스며든 모습이 좋았습니다. 요즘 탐방에서 중요 키워드로 삼는 ‘관계인구’의 표본을 본 것만 같달까요. 모두가 알다시피 도시의 청년들에게 소멸되는 지역을 위해 이주하라는 것은 현실성이 없습니다. 연회비를 내고 이용하는 리조트처럼 도시-시골의 관계를 맺어주는 게 그나마 유일한 답일 것 같아요. 잠시라도 로컬의 맛을 보다 보면 여유롭고 조용한 밤, 농사의 즐거움으로 이주를 희망하는 사람들이 나오지 않을까요? 강화의 하니님처럼요.
도시와 달리 해가 지면 ‘낮’은 끝나고 ‘밤’이 시작됩니다. Ⓒ탐방
오늘을 사는 어른들, 오느른 Ⓒ탐방
오느른의 뜻은 ‘오늘을 사는 어른들’이라고 합니다. 장르로 보면 어른들은 위한 다큐멘터리와 동화의 사이 그 어디쯤이죠. 끝난 줄만 알았는데 오랜만에 유튜브를 보니 “2022년 12월 24일 오느른이 찾아옵니다”라고 쓰여 있습니다. 요즘도 최별PD는 분주한 것 같아요. 김제에서 도시 청년과 로컬 청년을 모아 오후협동조합(@ohoo.coop)을 만들어 숙박 시설과 카페를 운영한다고 하네요. 아마 책과 영상에 등장한 장소들인 것 같은데, 김제에 가게 된다면 꼭 들르고 싶습니다.